인터뷰

집도 빵도 빵끗빵끗, 해남 삼산브레드

소형 세컨하우스 중형 세컨하우스 주거 상업공간

<단층집에 산다는 것>

크고 으리으리한 이층집도 좋지만, 그들이 그린 평면도는 단층집이었다. ‘집이란 아무리 화려하다 해도 결국 그 안에 사는 사람, 즉 가족의 삶을 담아야 하는 곳’이라는 어느 건축가의 말처럼 딱 필요한 만큼만, 큰 욕심은 내지 않았다. 그렇게 저마다의 이유로 단층집을 짓게 된 세 가족. 그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본다.

빵을 만들 때 가장 행복해 보인다는 이야기에, 부부는 과감히 남쪽 끝 해남에 집을 지었다. 빵을 좋아하며 굽는 집이기도 하고, 빵긋빵긋 웃음이 가득한 집이기도 하다.

“어느 날 직장 동료가 저에게 ‘빵 얘기할 때 가장 행복해 보인다’고 하더군요. 취미기도 하고 나름 고민도 한 터라 말을 듣곤 얼마 후 결심했죠. 먼저 정착한 친구와 고향이 있는 남쪽으로 가서 빵을 굽자고.”

해남군 삼산면 신기마을에서 두륜산 방향으로 조금 더 들어가면 길가에 수줍은 듯 자리한 검은 벽돌의 담백한 단층 건물 네 채를 만날 수 있다. 심명섭, 윤미순 씨 부부의 빵집이자 살림집, ‘삼산브레드’다.



수확이 끝난 논에서 바라본 주택. 명섭 씨는 올해 우리나라 토종 앉은뱅이 밀을 길렀다.


베이커리 모습. 도로변 간판은 해남 버스정류장의 것을 똑같이 만들어 세운, 미선 씨의 아이디어다. / 창고와 베이커리 사이의 틈새는 담으로 메워 업무와 일상을 구분해줬다.



SECTION

시골 빵집을 결심한 가족은 작년 초 건축사사무소 삼간일목의 권현효 소장을 찾았다. 사실 삼간일목을 만난 것은 이번이 두 번째. 몇 년 전, 집짓기가 만족스러웠던 그들은 이번에는 해남의 넓은 땅에 게스트하우스와 집, 창고, 그리고 빵집이라는 의뢰를 들고 왔다. 부부는 이곳이 마을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길 바랐고, 그러면서도 빵집도 순항하길 원했다.

권현효 소장은 주택 성격에 맞춰 대지 내에 서의 배치를 고려했고, 빵집이란 상업공간 취지에 맞게 도로에서의 접근성과 시인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렇게 집의 퍼즐이 하나하나 맞춰지기 시작했다.


한옥처럼 일상 공간은 안으로, 대외적으로 손님을 맞는 업무 공간은 밖으로 놓였다.


외부 주방에서 마당을 바라본 모습. 주택과 게스트하우스는 데크를 통해 서로 이어진다.


바깥 담장 문을 열면 만날 수 있는 안뜰 풍경. 가까운 곳에 주택 본채가, 멀리 게스트룸이 놓였다


HOUSE PLAN

대지위치 ▶ 전라남도 해남군

대지면적 ▶ 주택 641㎡(194평) + 근생 646㎡(195평)

건물규모 ▶ 지상 1층 4개 동 |

거주인원 ▶ 3명(부부 + 자녀 1)

건축면적·연면적 ▶ 주택 119.61㎡(36.18평) + 근생 145.98㎡(44.2평)

건폐율·용적률 ▶ 주택 18.66% + 근생 22.56%

주차대수 ▶ 5대 |

최고높이 ▶ 4.85m(주택)

구조 ▶ 기초 – 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 지상 – 벽 : 2×6 구조목 + 공학목재, 기둥·지붕 : 2×10 구조목

단열재 ▶ 벽체 - THK140 그라스울 R21 / 지붕 - THK240 그라스울 R40, 방수 후 50㎜ 압출법보온판(기초 외벽) / 바닥 : THK100 비드법보온판 2종1호

외부마감재 ▶ 벽 - 제임스하디 스카이온 엑손 사이딩, 벽돌타일 / 지붕 – 컬러강판

담장재 ▶ 철근콘크리트 + 벽돌타일

창호재 ▶ 엔썸 케멀링 47㎜(1등급)

철물하드웨어 ▶ 심슨스트롱타이 |

열회수환기장치 ▶ Paul Climos

에너지원 ▶ LPG

내부마감재 ▶ 벽 - 삼화페인트 / 바닥 – 풍산마루, 대성타일

욕실 및 주방 타일 ▶ 대성타일, 유성타일 수전 등

욕실기기 ▶ 대림바스, 이누스

조명 ▶ 비츠조명 |

현관문 ▶ 커널시스텍

방문 ▶ 예림도어 + 도무스

데크재 ▶ 킹스우드 방킬라이 19㎜

전기·기계 ▶ 한영전력 |

설비 ▶ 준시스템

시공 ▶ 위빌건설 www.we-build.co.kr

설계 ▶ 건축사사무소 삼간일목 


a / 단정하게 정리된 게스트룸. 스테이도 염두에 두고 공간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빵집 업무가 바빠 민박보다는 부모님이 오시면 모시는 용도로 종종 쓰곤 한다.


b / 단층이지만, 지붕선을 그대로 살린 내부. 아이보리, 화이트 톤의 실내, 넓은 창으로 들이는 풍부한 채광 덕분에 볼륨감은 2층 주택 못지 않다.



c / 복잡하게 꾸민 가구나 작품은 없지만, 창으로 담기는 뒷마당과 멀리 산세가 그 자체로 인테리어가 된다.

d / 도로를 향해 놓인 창과 테이블. 디자인 창호보다는 실용적인 시스템 창호가 들어갔다.


e / 주택 안팎을 채우는 직선과 달리 현관 벽에는 곡선을 적용해 분위기가 한결 부드럽다.


주택은 흡사 한옥의 모습과 닮았다. 빵집과 창고는 마치 사랑채처럼 열려있고, 게스트하우스가 안채처럼 놓였다.

빵집은 크게 카페와 작업 공간으로 나눴는데, 두 공간의 동선이 섞이지 않으면서 작업 중 미선 씨의 휴식과 출입동선을 반영하는 등 작업 효율성과 위생, 지속가능성까지 세밀하게 고려했다. 주택과 게스트하우스는 세세한 구분보다는 필요한 기능을 콤팩트하게 담아냈다. 처음 부부가 설계를 마주했을 때는 ‘빵집’보다는 ‘집’처럼 나온 것 아닐까 고민했지만, 지금은 처음에 바랐던 사항을 세심하게 녹여낸 권 소장의 배려와 최적의 답에 무척 만족스럽다고. 물론, 시스템창호나 열회수환기장치 등으로 단열과 기밀, 환기처럼 내실에도 많은 공을 들였다.

“미안합니다. 오늘은 쉬는 날이에요.” 쉬는 날에도 수시로 동네에서, 멀리서 손님이 찾아와 아쉬운 말을 전하며, 그때마다 손님들을 그냥 보낼 수 없어 시식용 빵 한 조각이라도 건네는 두 사람. 빵 굽는 행복을 찾아온 부부에게 빵집은 행복을 구워 나누는 동네 사랑방이 되고 있었다.



담백한 빵집에서도 화장실만큼은 미순 씨가 타일도 직접 고르는 등 신경을 썼다.


심플한 인테리어를 주문했던 빵집은 지금도 조금씩 사연과 아이템을 채워가고 있다.


미순 씨는 주로 빵을 구워내고, 명섭 씨는 커피를 내리며 빵을 팔고 손님을 맞는다. 미순 씨가 프랑스까지 연수 가서 빵을 배운 것처럼 명섭 씨도 바리스타 교육을 받는 등 여러 준비를 했다.

건축주 Say_문을 열면 계단이 아니라 마당으로 나가는 일상을 꿉니다

집과 가게가 붙게 되면 집은 2층, 가게는 1층으로 놓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마당과 바로 자유롭게 만나는 1층 공간을 포기하고 싶지 않았어요. 또 우리가 바깥에서 들어오는 만큼 오래 있던 마을의 다른 집들보다 높고 화려하게 지어 튀기보다는 그저 어울리기를 원했어요. 앞으로도 여기 계신, 그리고 해남을 찾아주시는 분들을 위해 빵을 굽고 싶으니까요.


출처 '월간 전원속의 내집 - 2022년 3월호'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니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댓글

다른 하우징&뉴스